티스토리 뷰

반응형

개인사업자 사무실에서 경리로 일하고 있습니다 ㅎㅎ

 

오늘은 사업용 차량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시불 취득, 할부 취득, 리스, 렌털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있어서 어떤 방식으로 구매해야 가장 좋은 방법인지, 각각의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사업용 차량 구매방법 

 

 

 

  • 일시불 취득 
  • 할부 취득 
  • 리스
  • 렌탈 

 

2. 구매방법에 따라 고려해 볼 수 있는 사항_사업용 차량 

 

  일시불 할부 리스 렌탈
초기비용_취득세 7%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이자발생 없음 있음 있음 있음
추가 부가가치세
발생
없음 없음 없음 있음
보험료, 자동차세 있음 있음 있음 없음
보험료 인상 (사고시) 있음 있음 있음 없음

차량 앞의모습

 

  • 할부 취득 :  취득세 7% 로 초기비용 부담이 있고, 할부기간에 따른 이자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사고가 났을 때에는 보험료 인상이 염려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 리스 : 초기비용 부담이 없으나 사실 월 리스료 안에 이러한 초기비용이 계약기간 동안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자가 발생하게 되고, 보험료 자동차세 역시 사업주가 부담하며 사고가 났을 때에는 보험료 인상이 염려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 렌탈 : 초기비용 부담이 없으나 사실 월 렌탈료 안에 이러한 초기비용이 계약기간 동안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자가 발생하게 됩니다. 보험료 자동차세는 렌탈회사가 부담하고, 추후에 안분되어 월 렌탈료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사고가 났을 때에는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직접적인 보험료 인상에 대한 부분이 없습니다. 모든 구입 방법에 부가세가 다 포함되어 있겠지만 렌털의 개념은 자동차를 빌리는 것으로 물건을 빌리는 행위에 대해서는 부가세가 추가로 붙습니다.  ( 참고로 일반 업무용 승용차에 대해서는 부가세 환급이 원칙적으로 불가합니다. 그래서 전체적인 금액면에서는 렌탈이 비합리적일 수도 있습니다. ) 

 

3. 회계처리방식_일반승용차 (9인승 미만) 기준

 

 

 

 

이륜자동차, 경차, 승합차, 화물차의 경우에는 차량취득시 부가세 공제 가능, 소득세 비용 처리 시 전용 보험가입 의무도 없고, 한도도 없고, 운행일지 의무도 없습니다. 그리고 일반승용차 (9인승 미만)의 회계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가세 공제 : 불가능 

 

      일반승용차(9인승 미만)는 부가세 공제가 불가합니다.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업종은 택시 하는 분들 등 )

     이러한 부분은  차량을 취득할 때와 마찬가지로 차량을 유지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차량을 유지할 때 드는 비용 역시 부가세  공제가 불가합니다. 

 

   ▶소득세 비용 처리 : 가능 

 

     연간 800만원 한도로 감가상각비, 렌털, 리스 비용 처리

     (감가상각비는 5년동안 정율법으로 비용처리)

     자동차 관련 비용 (렌탈비, 주유비, 자동차세, 감가상각비 등등)이  년간 1500만 원 한도로 처리

     --> 그러니 감가상각비,연간 렌탈비, 리스 제외하고는 700만 원이 자동차 유지를 유한 부가적인 비용이 되겠습니다.

 

         ※ 1500만원이 초과된다면 업무용 승용차 운항일지 필수로 써서 꼭 비용처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추천) 

 

    ▶ 보험가입사항 : 의무 

 

        2024년 부터 개인사업자도 사업용 차량에 임직원 전용보험을 들어야 한다고 합니다. 올해까지 갱신보험 유지하는데                   상관이 없고, 내년에 만기 시에는 꼭 임직원 보험을 들어야 합니다. 저도 꼭 기억해 두어야겠습니다! 

 

 

이렇게 보니  4가지 방법 다 세법상 비용처리가 가능합니다. " 어떤 방식이 비용처리에 용이하다 " 라는 식의 접근은 맞지 않는 듯합니다.

 

 

차량운전대

4. 차량구입방법 선택

 

  • 사업자대표의 경우 일시불로 취득하시는 게 가장 저렴 (초기비용 많으나 전체적인 비용 면에서)합니다. 그리고 차량 교체시기가 10년 이상이셔서 취득하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어떤 차량이 좋을지 차량검색에 들어갑니다)

 

  • 만약 신차에 관심이 많으시고 자동차 교체시기가 5년 이내로 빠르시다면 차량취득은 중고차 감가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리스가 더 효율적일 수도 있습니다. 

 

  • 사무실에서 직원들이 이용하고, 외부업 부나 출장이 많다면 사고확률이 많으니 보험료 인상의 부담이 클 수 있으니 렌탈이 조금 더 합리적 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반응형